in

극지방 썰매개, 알고보니 9천500년 전부터 있었다

【코코타임즈】

9천500년 전에 살았던 시리아 개, ‘조코브‘(Zhokhov)의 ‘게놈 시퀀스'(genome sequence)를 분석해보니 재밌는 결과가 나왔다. 현재의 그린란드 썰매개와 ‘유전자 염기서열’이 거의 비슷하다는 것. 그 다음이 시베리안 허스키와 말라뮤트.

사실 이들은 약 2천년, 혹은 길어야 3천년 전부터 내려온 품종들이라고 추측해왔다. 그런데 이번에 무려 9천500년 전부터 내려오는 품종들인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특히 그린란드 썰매개는 다른 견종이나 늑대와의 교배 없이 원형과 거의 비슷하게 약 1만년을 내려온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에는 덴마크 코펜하겐대학의 고(古)유전학 박사과정 미켈 홀거 신딩(Mikkel-Holger Sinding) 등이 쓴 논문이 실렸다. 극지방 썰매개들이 홍적세와 충적세 전환기에 출현했다(“Arctic-adapted dogs emerged at the Pleistocene–Holocene transition”)는 것.

이들은 시베리아 섬 조코브의 유적지에서 발견되어서 그 이름을 따온 9천500년 전의 개 ‘조코브’와 현대의 극지방 개 10종, 그리고 늑대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했다.

이를 통해 고대 개와 현대 썰매개들 사이에 주목할만한 유전적 유사성을 밝혀냈다. 현대 썰매개들의 주요 조상이 시베리아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 그리고 그린란드 썰매개의 유전자가 가장 가깝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시베리아 고대 개 ‘조코브’와 유전자 비교해봤더니

해당 논문의 주 저자인 미켈 홀거 신딩(Mikkel-Holger Sinding)은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과의 인터뷰에서 “처음엔 개들의 조상 비슷한 것임을 밝혀낼 것이라 예상했다”면서 “하지만 게놈 시퀀스를 비교해보니 썰매개들이 다른 현존하는 개들보다 조코브와 공통적인 유전자가 많았다”고 했다.

조코브출처: Science (Elena Pavlova)

2천년, 3천년 된 품종으로 알려졌던 썰매개들이 최소한 9천500년 전부터 내려오는 품종들이란 것.

이는 조코브가 있던 9천500년 전에 이미 개들의 품종이 나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신딩은 이와 관련, “개들이 그 때 이미 다양화되었다는 뜻”이라며 “(이 시점이) 개들의 품종이 다양화된 것을 확실히 입증하는 가장 오래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품종들의 유전자에는 3만3천년 전에 존재하던 시베리아 늑대와 교배를 한 흔적이 있다. 하지만 현대의 늑대와는 교배를 한 흔적이 없다.

조코브에서 내려오는 현대의 썰매개 품종에는 허스키, 말라뮤트, 그린드 썰매개 등이 있다. 그 중 그린드 썰매개가 다른 품종과의 교배가 제일 적어 조코브와 가장 흡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조코브 개와 조상이 같은 썰매개들

출처: Unsplash

극한의 추위에 적응해온 유전자들도 있더라

썰매개들과 다른 품종들의 유전자를 비교한 이번 연구는 썰매개들과 다른 품종들에 대한 흥미로운 차이점들을 추가로 밝혀냈다.

그중 한 가지는 썰매개들이 다른 개들과 달리 고지방 식단에 대한 적응 능력이 있다는 것. 이는 썰매개들이 극지방 원주민 이누이트(Inuit)족, 툴레(Thule)족과 생활하면서 물개나 고래 같은 지방이 많은 먹잇감들을 섭취하면서 살아왔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들어맞는다.

신딩은 “갈색곰과 북극곰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는 북극곰이 지방을 많이 먹는 것에 대한 특정한 유전적 적응이 있다는 것”이라며 “썰매개에서도 이와 똑같은 해결책이 관찰된다”라고 설명한다.

썰매개는 또한 몸의 온도를 조절하는 특별한 유전자도 있다. 이는 추위를 극복하는 능력과 더불어 격렬한 운동 후에 몸을 식히는 능력도 준다. 이는 맘모스의 유전적 적응과도 흡사하다고 신딩은 말한다.

오래도록 개 유전자를 연구해온 엘레인 오스트랜더(Elaine Ostrander)는 <내셔널 지오그레픽>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가) 진화론과 지리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현대의 반려동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것도 크다”고 말한다.

출처: Unsplash

예를 들어 “썰매개들이 고단백, 고지방 식단에 적응해왔기에 지금 반려동물로 살고 있다 하더라도 탄수화물 식단보다는 단백질과 지방을 급여하는 것이 좋다”는 것.

오스트랜더는 이어 “이번 연구가 썰매개들이 ‘움직이기 위해’ 계속 진화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하고 “아파트에 하루 종일 앉아있는 것보다 많은 운동과 과제 기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녀는 보호자들에게 강아지를 선택할 때 기후조건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허스키 말라뮤트 등 썰매개 품종들은 덥고 습한 환경에선 쉽게 더위를 먹고 기력이 없지만 “눈이 오는 곳으로 데려가면 얼마나 행복한 지” 금방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아는 만큼 보이는 사료 이야기】(7)활동량 많은 사역견들 영양은? 바로가기

사모예드 족의 영원한 친구 사모예드 Samoyed 바로가기

Copyright © 코코타임즈. 무단 복제나 배포 등을 금합니다.

비마이펫배너광고

이 콘텐츠를 추천하시겠습니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